본문 바로가기
영자의 굿뉴스

제품수불부 만들기

by 영자 2021. 7. 21.

 

 

오늘은 제품수불부라는 것을 정의하고 제품수불부를 어떻게 만들어야 한눈에 들어오는 제품수불부가 될지, 또 이럴 때 수식은 어떻게 설정해 놓아야 편리하게 양식을 사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이야기를 다뤄보겠습니다.

 

■ 목차

     

     

     제품수불부 정의

     

    | 제불수불부의 정의

     

    제품수불부가 뭘까요? 제품수불부를 단어 그대로 해석해보면, 제품의 받고 나가는 것을 기록하는 장부를 가리킨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면 이런 제품수불부를 작성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그건 눈에 보이는 관리를 하기 위함이고 계획표를 작성해 제불 수불의 입출고 내용을 확인하고 또 진도율과 진척률 등의 관리를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더 나아가 나주엥 이런 제품수불부가 일자가 쌓여 데이터가 많아지면 1달을 넘어서 1분기에 혹은 1년 동안에 얼마나 많은 제품들이 나가고 들어왔는지를 확인하고 그걸 데이터화 할 수 있게 됩니다.

     

    제품 수불부는 완제품으로 작성하기도 하지만, 반제품의 제품수불부를 별도 관리해 복잡 다양한 상황에 판단하고 미래를 예상해 보고, 또 그것에 연동해 자재의 입출고 수불과 필요한 양까지도 따져볼 수 있게 해 줍니다.

     

     

     

     

     제품수불부 만들기

     

    | 제품수불부 만들기

     

    완제품 제품수불부를 만든다고 가정하면, 완제품 제품수불부에는 어떤 항목들이 들어가야 할까요? 제품수불부의 구성항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 출하계획

    - 출하실적

    - 생산계획

    - 생산실적

    - 재고(과부족)

     

    하나씩 설명해보겠습니다. 출하계획은 완제품의 출하계획을 이야기합니다. 다른 말로는 완제품 판매계획이 되겠고 일자별로 몇 개씩의 완제품이 판매되는지 더 나아가 차주에는 차월에는 어떤 일정으로 몇 개의 완제품이 판매될지를 일자별로 깔아놓는 형식이 되겠습니다.

     

    이런 출하계획은 영업관리나 영업팀에서 FCST 형태로 공유하게 되는데요. 이것의 적합도에 따라 생산계획이 바뀌기도 하고 원안대로 유지되기도 하니 출하계획 부분은 각 생산부서에 있어 상당히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다음으로 출하실적은 말 그대로 출하가 나간 실적 값을 가리킵니다. 영업이 1000개를 오늘 판매했다고 해서 꼭 1000개가 판매되는 것은 아니고, 또 반품 입고 같은 특이사항이 발생할 수 있으니 제품수불부에는 출하계획과 함께 출하실적 칸도 필히 있어야 합니다.

     

    생산계획은 영업이 세운 출하계획을 맞추기 위한 생산부서의 생산 스케줄을 가리킵니다. 영업 판매일 전에 재고가 생산돼 포장까지 되도록 하는 조율이 필요하며 그런 생산 L/T (Lead Time)을 고려하여 생산 스케쥴링을 해야 합니다.

     

    모든 생산에는 Lead Time이라는 것이 필요한데. L/T 는 생산부서의 인원과 장비 현황에 따라서 단축될 수도 있고 늘어날 수도 있는 것이기 때문에 늘 L/T에 대해 민감하게 캐치해야 할 필요가 있고, 최소 지켜줘야 하는 l/T 는 어떻게 임의로 생산관리자가 줄일 수 있는 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무리한 영업의 판매계획 요구 시 이에 적정하게 대응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할 수 있겠습니다.

     

    생산실적은 생산계획대로 운영했을 때 얼마나 생산을 해냈는지를 가리키는 생산 결과 값을 말합니다. 일일 생산계획을 100개로 목표를 세우고 실제로 110개를 생산했는지 90개를 생산했는지 실적 정리를 해야 하며, 이런 생산실적이 실제 완제품 재고에도 반영이 되므로 생산실적의 정리는 중요하다 할 수 있겠습니다.

     

    재고는 생산실적에 의해 늘어나고 판매실적에 의해 줄어드는 재고량을 의미합니다. 어떤 회사에서는 이런 재고를 과부족이라는 말로 바꿔서 쓰기도 하는데요. 과하거나 부족하게 되는 숫자, 즉 증감이 되는 숫자라는 뜻에서 그렇게 부르는 것 같습니다. 

     

    제품수불부의 항목은 위와 같고 예를 들어서 작성한 제품 수불부의 양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unit : 개] 7/2 7/3 ..... 7/30 7/31
    출하계획 100 100 ..... 100 100
    출하실적 100 100 .....    
    생산계획 120 120 ..... 130 130
    생산실적 120 130 .....    
    재고(과부족) 1000 1030 ..... 1060 1090

     

    위와 같은 형식으로 제품 수불부를 작성하면 7월 30일이 되면 재고는 1060개가 될 것이고, 7월 31일이 되면 1090개라는 재고가 보유되는 것을 제품수불부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위 표의 맨 앞 열에 월 합계를 넣어주면 한 달 동안 얼마를 출하했고, 얼마를 생산했고, 생산의 계획 대비 실적률은 얼마나 되는지, 출하계획 대비 실적률은 얼마나 되는지, 7월 초 재고는 얼마였는지, 7월 말 예상 재고는 얼마인지 다양한 정보들은 한눈에 보기 쉽게 찾아보고 예상해볼 수 있게 되겠습니다. 바로 이런 게 제품수불부를 만들고 운용하는 이유가 되겠고요.

     

    오늘은 제품수불부의 정의에서부터 제품수불부의 필요항목과 작성방법 등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이런 제품수불부의 재고 부분에 Today와 IF 함수를 혼용 사용하면 여러 개의 수식 없이도 단 하나의 수식으로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건 아래 포스팅 참고하시고요. 감사합니다.

     

     

    if 와 today 함수 연계사용 효과에 대해서

    엑셀을 얼마나 하시나요? 직장인이고 어떤 일정을 관리하거나 특히 생산관리를 하는 분들은 들어오고 나가고 사용되고 만들어지는 것들에 대한 양을 tracking 하시면서 나름의 관리를 하고 계실

    youngja.tistory.com

     

    케파시티 산출 방법

    케파시티 산출 방법에 대해서 논해보고자 합니다. 케파시티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먼저 정의를 내려본 후, 이런 케파시티를 산출하기 위한 전제조건, 그리고 예로 들어 산출하는 것을 설명드려

    youngja.tistory.com

     

    문서작업용 집컴 중고가격

    오늘은 문서작업용 집컴의 중고 가격이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풀어가 볼까 합니다. 컴퓨터는 크게 노트북과 데스크톱(오늘 포스팅에서는 집컴 이라고 명명하겠습니다.)으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youngja.tistory.com

     

    FCST 와 발주수량의 결정방법

    오늘은 생산라인을 운영하기 위한 자재발주수량 결정방법, 그리고 영업 FCST 의 중요도에 대해서 논해보려고 합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참고하세요. ■ 목차  FCST 적확도의 중요성 | FCST 적확도의

    youngja.tistory.com

     

    화장실 끼고 제주도 차박

    코로나19 가 더욱더 극성을 부리고 있는 요즘인데요. 그러나 여름휴가철에 코로나19 가 무서워서 집콕만 하고 있자니 그것도 참 쉽지 않은 결정이 되겠지요. 그래서 오늘은 차박으로 나름의 여행

    youngja.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