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파시티 산출 방법에 대해서 논해보고자 합니다. 케파시티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먼저 정의를 내려본 후, 이런 케파시티를 산출하기 위한 전제조건, 그리고 예로 들어 산출하는 것을 설명드려보겠습니다.
■ 목차
케파시티 정의
| 케파시티 정의
케파시티란 Capacity를 발음 그대로 한글로 옮긴 것인데요. 말 그대로 가용량, 소화능력 뭐 그 정도의 뜻을 가지고 있는 단어입니다.
케파시티라는 단어는 전기에서 차폐 용량을 가리킬 때도 사용하고, 그 외 장비의 설비 가용능력, 생산 가용능력 등을 이야기할 때도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주로 생산을 하는 제조업에서 많이 거론하며 많이 사용하는데요. 오늘은 케파시티 산출에 대해서 설명드려볼까 합니다.
케파시티 산출 방법
| 케파시티 산출 방법
만약 한 장비에서 A, B, C 라는 제품을 생산하는데, 각 제품들은 각기 다른 폭과, 생산속도 등을 가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런데 누군가가 그 장비 1대의 케파시티를 산출하라고 하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럴 때는 A, B, C라는 각각의 제품의 생산속도, 생산 폭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계산을 해야 하는데요. 여기에서 문제는 A, B, C의 생산 비율에 따라 장비의 케파시티가 다 제각각으로 변동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것은 A, B, C 각 제품의 생산조건(폭이나 속도)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각기 장비의 생산효율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기 때문인데요. 이런 경우에는 가정을 깔고 그 장비의 케파시티를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A 가 한 달에 1000개, B 가 한달에 400개, C가 한달에 600개를 판다는 조건이 설정돼 있으면 그 조건에 맞게 케파시티를 구해볼 수 있습니다.
- A를 만드는데 걸리는 시간 = (1000개 x 1.2 meter/개 / 80%) / 5 mpm / 60분 / 24시간 = 약 2일
- B를 만드는데 걸리는 시간 = (400개 x 1.5 meter/개 / 80%) / 6 mpm / 60분 / 24시간 = 약 0.09일
- C를 만드는데 걸리는 시간 = (600개 x 2.0 meter/개 / 80%) / 4 mpm / 60분 / 24시간 = 약 0.26일
A를 만드는데 걸리는 시간에 대해서 설명을 드려보면, A를 1000개 만들어 판매할 예정인데, A의 길이가 1.2 meter이고, A를 만드는 종합 수율이 80%, A를 만드는 장비의 속도 조건이 1분에 5미터를 만들 수 있을 때 걸리는 날수를 계산한 것이고 결과는 2일이 나오게 됩니다.
같은 방법으로 B를 400개 만드는 데는 0.09일, C를 600개 만드는데는 0.26일이 걸리게 됩니다. 이런 경우에 이 장비가 한 달에 생산할 수 있는 케파시티는 얼마가 되는 걸까요?
이런 경우의 질문의 답으로 한 달에 몇 개를 만들 수 있다고 얘기하면 되는데, 문제는 A가 몇개를 더 만들수 있는지로 설명을 해야 할까요? 아니면 B나 C로 설명을 해야 할까요?
이럴 때 가장 현명한 것은 보고받는 사람의 시각에서 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어쨌든 이 장비는 A+B+C의 한 달 판매량을 만들어도 2.35일 밖에 걸리지 않습니다. 즉 한달 30일 기준으로 27.65일은 유휴가 된다는 말이 됩니다.
이 27.65일을 가장 많이 팔리는 A를 만드는 데 사용할지, 아니면 A, B, C 를 고루고루 만드는데 사용할지는 순전히 계산하는 사람 혹은 보고 받는 사람이 원하는 대로 산출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서 가장 많이 팔리는 A를 얼마만큼 더 만들 수 있는지를 계산하는 경우 27.65 일 * 5 mpm * 60분 * 24시간 / 1.2 meter/개 x 80% 로 계산하면 그 수량을 알 수 있습니다. 결과 값은 132,720개인데요.
이렇게 계산하는 경우에 보고의 내용은 A는 133,720개, B는 400개, C는 600개 만들 수 있습니다가 되게 됩니다.
이렇게 계산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계산해볼 수 있는데요. 이 경우에는 다소 복잡하지만 한 달 30일 중에 A가 생산하는 가동일 수를 원래 A를 1,000개를 만들 때의 가동일 수의 비율만큼 올려서 계산하면 됩니다.
조금 풀어서 설명해보자면 A 2일, B 0.09일, C 0.26일에서 A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85% 인데요. 한 달의 85% 만큼 A를 만든다고 가정하고 한 달에 25일 정도를 A를 만드는데 소요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계산하면 됩니다.
이해가 가셨을지 모르겠습니다. 물론 위 가동률과 케파시티의 계산에는 장비 가동률이나 A에서 B, 혹은 B에서 c품종을 생산 할 때 들어가는 품종 교체 시간 (Job Change)의 개념이 들어가 있지는 않습니다. 정확하게 계산하려는 그것까지 반영하는 게 필요하고요.
if 와 today 함수 연계사용 효과에 대해서
엑셀을 얼마나 하시나요? 직장인이고 어떤 일정을 관리하거나 특히 생산관리를 하는 분들은 들어오고 나가고 사용되고 만들어지는 것들에 대한 양을 tracking 하시면서 나름의 관리를 하고 계실
youngja.tistory.com
FCST 와 발주수량의 결정방법
오늘은 생산라인을 운영하기 위한 자재발주수량 결정방법, 그리고 영업 FCST 의 중요도에 대해서 논해보려고 합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참고하세요. ■ 목차 FCST 적확도의 중요성 | FCST 적확도의
youngja.tistory.com
화장실 끼고 제주도 차박
코로나19 가 더욱더 극성을 부리고 있는 요즘인데요. 그러나 여름휴가철에 코로나19 가 무서워서 집콕만 하고 있자니 그것도 참 쉽지 않은 결정이 되겠지요. 그래서 오늘은 차박으로 나름의 여행
youngja.tistory.com
제주 우럭볼락 통발로 잡는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주 우럭볼락이라는 물고리를 통발로 잡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드려 볼까 합니다. 낚시를 좋아하는 분들께도 유용한 팁이고, 저처럼 낚시와 거리가 먼 사람들에게는 더
youngja.tistory.com
'영자의 굿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ALT123 조합 사용 (0) | 2021.07.22 |
---|---|
제품수불부 만들기 (0) | 2021.07.21 |
if 와 today 함수 연계사용 효과에 대해서 (0) | 2021.07.20 |
FCST 와 발주수량의 결정방법 (0) | 2021.07.19 |
화장실 끼고 제주도 차박 (0) | 2021.07.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