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자의 굿뉴스

FCST 와 발주수량의 결정방법

by 영자 2021. 7. 19.

 

 

오늘은 생산라인을 운영하기 위한 자재발주수량 결정방법, 그리고 영업 FCST 의 중요도에 대해서 논해보려고 합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참고하세요.

 

■ 목차

     

     

     FCST 적확도의 중요성

     

    | FCST 적확도의 중요성

     

    일반적으로 얼마를 팔겠다는 수치가 영업으로부터 주어지면 자재관리 담당자 혹은 구매 발주 담당자는 예상 소요량을 산출하고 그것에 근거해 발주 수량을 결정해야 합니다.

     

    영업이 얼마를 팔겠다고 예상하는 것을 FCST 라고 하는데요. Forcast 에서 중간 중간의 단어들로 줄여서 쓴 것을 말합니다. 이것이 얼마나예측의 정확도를 가졌느냐에 따라서 구매 발주수량부터 생산계획 수량, 가동계획, 인력운영 계획들이 크게 달라지는데요.

     

    그래서 한 회사를 가동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영업의 FCST 적확률 혹은 적확도가 되겠습니다. 실력 없는 영업이라면 이런 FCST 적확도는 바닥을 기게 될 것이고, 그 회사는 흔히 말하는 사람을 갈아서 제품을 만드는 정말 후진 회사가 되는 것입니다.

     

    최앞단의 영업이 제 역할을 제대로 해주지 못하면 구매계획, 생산계획, 인력계획, 가동계획 모든 것이 흔들릴 수 있다는 말이 되겠습니다. 반지름이 큰 원 일수록(회사 조직이 크고 복잡할 수록) 원의 중심에서 흔들어대는 것에 따라 (영업이 FCST 를 흔들어 대는 것에 따라) 원의중심에 있는 것들은(영업은) 조금만 바꾸어도 원의 중심에서 멀리 떨어진 것들은 (영업 외에의 생산관련 부서들) 더 많이 뛰어야 합니다.

     

    어쨌든 영업의 역할이 이렇게 중요하다는 것을 말하고 싶어서 위에 내용을 써봤는데요. FCST 적확도가 잘 맞는다는 가정하에 생산관리와 구매관리는 어떻게 자재를 발주내야 할까요?

     

     

     

     

     발주수량의 결정

     

    | 발주수량의 결정

     

    발주수량의 결정에는 2가지 인자에 대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그 첫째는 자재의 L/T (lead time) 이 되겠습니다. L/T 라는 것은 자재를 발주해서 자재의 공급처가 재자 발주서를 접수 받아 실제 자재를 만들어 우리 회사에 납품하기 까지 걸리는 시간 입니다.

     

    만약 L/T 이 1달인 자재가 있다면, 내가 받아야 하는 필요시점 기준 최소 1달 전에는 발주가 나가야 하는 구조 입니다. 만약 자재 L/T 가 2달인 자재가 있다면, 당연히 2달 전에 자재의 발주가 나가야 합니다.

     

    두번째 발주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안전재고 입니다. 안전재고란 영업의 FCST 적확률이 떨어지거나 생산의 생산수율이 일정하지 않을 경우에 대비해 비축이 필요한 수량을 말합니다.

     

    즉, 한달에 1번 생산하는 제품의 경우 1번 생산하는 수율이 매번 일정하면 좋겠지만, 수율이 좋지 않아 50% 의 생산량만 나올 경우가 있다면 매달 1번 생산하는 수량의 최소 50% 수준은 안전재고로 가지고 가야 합니다.

     

    이런 개념으로 발주수량을 고민하고 결정해야하는데요. 실무적인 부분은 추후에 다시 업데이트해 보충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서작업용 집컴 중고가격

    오늘은 문서작업용 집컴의 중고 가격이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풀어가 볼까 합니다. 컴퓨터는 크게 노트북과 데스크톱(오늘 포스팅에서는 집컴 이라고 명명하겠습니다.)으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youngja.tistory.com

     

    화장실 끼고 제주도 차박

    코로나19 가 더욱더 극성을 부리고 있는 요즘인데요. 그러나 여름휴가철에 코로나19 가 무서워서 집콕만 하고 있자니 그것도 참 쉽지 않은 결정이 되겠지요. 그래서 오늘은 차박으로 나름의 여행

    youngja.tistory.com

     

    제주 우럭볼락 통발로 잡는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주 우럭볼락이라는 물고리를 통발로 잡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드려 볼까 합니다. 낚시를 좋아하는 분들께도 유용한 팁이고, 저처럼 낚시와 거리가 먼 사람들에게는 더

    youngja.tistory.com

     

    댓글